본문 바로가기

Computer Science/Network2

네트워크 쉽게 설명해보기 -2- 네트워크 Application Layer 앞서 네트워크 입문 1에서 실제로 패킷이 다음 라우터에 도달할 때의 속도는 빛의속도라고 했다. 또한 패킷의 비트들이 다음 라우터에 도달한다고 해서 물 흐르듯이 다음 라우터로 가는 게 아니라 패킷이 모두 도달한 뒤, 다음 라우터로 간다고 했다. 패킷이 한 묶음으로 가는 것이 패킷 교환 방식이고, 4가지 문제점(딜레이)과 해결 방법에 대해 얘기했다. 이번 시간에는 TCP/IP 4계층의 전체적인 클라이언트-서버 아키텍처와 전송계층의 특징 일부분을 알아보자. Client - Server Architecture 서버의 특징부터 살펴보자. 서버는 우리가 흔히 아는 웹서버를 기준으로 풀어보자. 서버의 특징은 뭘까? 우리가 어디에 있던 스마트폰으로 사파리를 켜서 네이버에 들어갈.. 2022. 12. 16.
네트워크 쉽게 설명해보기 -1- TCP/IP 4계층을 공부하며 정리하는 공간입니다. 잘못된 정보나 예시가 있다면 언제든지 말씀해주세요. 프로토콜이란? 다들 들어봤을 법한 TCP와 UDP가 있다. 여기서 P에 주목해보자. P는 Protocol(규약, 방식)이다. 규약과 방식이 뭘 의미하는 걸까? 예를 들어 한 커플 A, B가 통화로 대화를 한다고 생각해보자. A, B의 통화 내용을 저녁 약속을 잡는 상황이라 생각해보자. 대화 내용은 어떨까? 전화 걸자마자 "저녁에 밥 같이 먹을래?"라고 말할까? 일상생활에서 통화로 중요한 내용을 전달할 때는 앞의 부가적인 요소가 붙는다. A: 어 자기야 뭐해? 일 언제끝나? B: 어 자기야 나 오늘 칼퇴 각~~ A: 오 그래? 일이 빨리 끝나서 다행이네~ B: 응 근데 왜 전화 했어? A: 어 오늘 "저.. 2022. 12. 16.